Posts
This is the list
layout for showing blog posts, which shows just the title and groups them by year of publication. Check out the blog
layout for comparison.
2025
- JWT Refresh Token Rotation (RTR) 전략으로 보안 강화하기
- Spring Boot 멀티모듈 아키텍처 전환기
- Gradle에서 settings.gradle과 build.gradle의 역할과 차이
- Gradle에서 api vs implementation 의존성 스코프 정리
- Server-Sent Events(SSE) 구현과 실무에서 마주할 수 있는 문제 해결기
- Java로 구현한 Virtual Host 기능과 Host 헤더 이슈 해결기
- Mac에서 ElasticSearch 설치 및 실행하기
- ElasticSearch란 무엇인가?
- RDB와 NoSQL로 살펴보는 데이터베이스 확장성 전략
- C10K 및 C10M 문제
- Spring Batch 구현 - 멀티스레드 적용
- Spring Batch 처리 방식 비교 - Tasklet vs Chunk
- Spring Batch - 배치 작업과 스케줄러 연동하기
- Java ConcurrentHashMap - 동시성 제어의 이해
2024
- 2024년 회고 (Feat. 멋사, 졸업)
- DDD에서 Usecase 패턴 활용하기
- 네이버 헬스케어연구소 개발 인턴 회고
- Spring Component Scan
- Spring Bean
- 대용량 데이터 API 성능 최적화 전략
- Rust SQLx의 오프라인 모드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없이 빌드하기
- M2 Pro MacBook에서 Rust 개발 환경 설정하기
- Conventional Commits와 Husky로 일관된 커밋 메시지 관리하기
- ConcurrentHashMap을 통한 멀티스레드 환경 및 동시성 제어 알아보기
- 인메모리 vs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
- MacOS에서 Oralce 데이터베이스 설치
- Nginx log를 S3에 저장하기
- Docker MySQL - RDS 마이그레이션
- Blue-Green 배포 도입기
- MacOS에서 MySQL 완전 삭제 및 재설치 방법
- Java - Reflection
- Node.js에서 이미지 데이터 다루기
- Headless Browser
- 외래키(Foreign Key)에 대한 고찰
- TypeORM - 'parent_id' cannot be null 이슈
- RxJS와 Promise, Observable - 비동기 프로그래밍의 차이점과 활용
- 파라미터 유효성 검사의 양면성 - 시스템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 Go 언어 - 패키지 시스템과 웹 어플리케이션 만들기
- Go 언어 - 동시성 프로그래밍
- Go 언어 - 인터페이스와 에러 처리
- JS & TS - 객체 불변성과 읽기 전용 속성
- Go 언어 - 함수와 구조체
- Go 언어 - 소개와 개발 환경 설정
- DRF(Django Rest Framework) 개념 정리
- MySQL - VARCHAR의 특성 및 한글 저장
- MySQL - ENUM vs TINYINT
- NestJS - Task Scheduling
- JS - Currying function
- NestJS - PickType
- TypeScript - 고급 타입 추론
- TypeScript - 기초 타입 이론
- plainToInstance
- 카테고리 관리 위치 (Table vs Enum)
- Pipenv
- API 요청 횟수 제한하기
- S3 최대 파일 크기 지정하기
- AWS Lambda & Terraform
- CloudFront 도메인 설정 시 인증서 오류
- Terraform으로 AWS Amplify 구축
- ALB Dualstack 이슈
- NGINX proxy 설정
- bastion 인스턴스에 VPN 설치하여 보안 강화하기
- React + Typescript + Three.js로 3D 객체 렌더링하기
2023
- Apache JMeter로 성능 테스트하기 - 본편
- Apache JMeter로 성능 테스트하기 - 테스트 전 사전 준비
- 2023년 회고 (Feat. SW마에스트로)
- Apache JMeter로 성능 테스트하기 - 설치
- 네이버 OAuth CORS 에러
- Docker - cannot stop container
- 앱 광고 (우리 서비스에 적합한 광고 매체는 무엇일까)
- HashMap vs Hashtable
- OAuth 2.0 동작 방식
- Flyweight Pattern
- Spring 순환 참조 해결
- Observer Pattern
- Terraform 세미나 #1
- Log4Shell
- AWS S3 - Presiend URL 적용기
- Chain of Responsibility Pattern
- SLF4J를 통한 Spring 로그 관리
- GitHub Actions - JSON 파일 생성
- Composite Pattern
- API First Design
- Git-flow 전략
- AWS 특강 - S3 & CDN 정리
- INFCON 2023 회고
- 멋쟁이사자처럼 대학 11기 해커톤 및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cloud) 사용 후기
- Spring - 정적 컨텐츠 & MVC & API
- Spring - Custom Annotation
- load average
- Spring + Docker + GitHub Actions를 통한 CI/CD 파이프라인 구축
- AWS EC2 - Multiple IAM Role 에러 해결
- Ubuntu에 Docker sudo 권한 해제하기
- Ubuntu에 Docker 설치하기
- 가상화 (Virtualization)
- 도커 (Docker)
- 컨테이너 (Container)
- Spring 환경 분리
- Bridge Pattern
- CI/CD
-
내 시간표 만들고, 친구에게 공유해보세요! - Spring으로 개발한 WAS를 GitHub Actions와 Code Deploy로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 BDD(Behavior-Driven Development)
- raw data
- Spring - ResponseEntity
- 직렬화(Serialization)
- 애그리거트(Aggregate)
- DNS(Domain Name System)
- Prototype Pattern
- 멋쟁이사자처럼 대학 11기 아이디어톤 후기
- CNAME(Canonical Name)
- SSL & TSL
- Spring - Exception Handling
- OAuth
- Spring Request-Response Cycle
- JWT - Access Token & Refresh Token
- jakarta.validation 패키지 - MySQL NotNull 설정
- DTO & DAO & VO
- Git Merge 종류
- Template Method Pattern
- GitHub Pull Request Template 생성 방법
- Design Pattern
- Spring Security
- TDD
- AWS 특강 1회차(23. 6. 26.) 학습 정리
- GitHub Organization 참여 방법
- UML
- 클래스 다이어그램(Class Diagram)
- 프록시(Proxy)
- 정규표현식(REGEX)
- Postman으로 Mock Server 및 API 생성하고 OAS 문서 만들기
- OAS(OpenAPI Specification) - YAML 파일로 Swagger API 명세 만들기
- OAS(OpenAPI Specification)
- React-Native - Google ML Kit Text Recognition v2 API
- Spring Initalizr
- Cookie & Session
- Spring과 Spring Boot의 차이
- Lombok
- ResponseEntity
- KafkaJS
- Swagger 설정 시 Spring 버전에 따른 설정 오류
- Spring Boot에 Swagger 설정하기
- API 문서 자동화 (Feat. Spring API 문서화 도구 비교)
- Django & DRF(Django REST Framework)
- FastAPI
- Flutter
- Jira
- Dart
- Nginx
- TypeORM
- 빅테크(Big-tech)
- 관계(Relationship)
- Key의 종류
- 무결성(Integrity)
- Node.js - Express
- NestJS
- User-Agent (UA)
- HTTP
- Redis
- Secure Coding (시큐어 코딩)
- WBS
- Auto Scaling
- AWS S3 (NCP Object Storage)
- 테크니컬 라이팅(technical writing)
- NAT
- Scale-up & Scale-out
- OLTP & OLAP
- 자바스크립트 컴포넌트
- 자바 제네릭(Generic)
- 핀테크(Fintech) & 테크핀(TechFin)
- AWS > Region(지역)과 Availability Zone(가용구역)
- AWS > EC2
- AWS > 서론
- SOLID > SRP (단일 책임 원칙)
- SOLID > 개요
- SOLID > OCP (개방-폐쇄 원칙)
- SOLID >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 SOLID >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 SOLID > DIP (의존성 역전 원칙)
- MongoDB > 2. MySQL vs MongoDB, CRUD
- GitHub Actions
- NoSQL
- MongoDB > 1. 소개, 장단점, 빅데이터 처리 특화, 불안정성, Sharding, Replica-Set
- 구조적 프로그래밍(Structure Programming)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bject Oriented Programming)
- 함수형 프로그래밍 (Functional Programming)
-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14기 합격 후기
- 늦디늦은 부스트캠프 맴버십 회고
- GitHub Organization
- MVVM 패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