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MySQL - RDS 마이그레이션
in DevOps
필자는 졸업 작품팀에서 백엔드 파트 및 인프라 구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우리 팀은 최근까지 Docker를 사용하여 MySQL 컨테이너를 운영해왔다. 이 방식을 통해 초기 개발 단계에서 빠른 설정과 유연성, 비용 절감의 이점을 누릴 수 있었으나, 서비스 출시가 다가옴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안정성 측면에서 고민을 거듭하여 AWS RDS로 마이그레이션하기로 결정하였다.
필자는 졸업 작품팀에서 백엔드 파트 및 인프라 구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우리 팀은 최근까지 Docker를 사용하여 MySQL 컨테이너를 운영해왔다. 이 방식을 통해 초기 개발 단계에서 빠른 설정과 유연성, 비용 절감의 이점을 누릴 수 있었으나, 서비스 출시가 다가옴으로써 데이터베이스의 안정성 측면에서 고민을 거듭하여 AWS RDS로 마이그레이션하기로 결정하였다.
필자는 졸업 작품팀에서 백엔드 파트 및 인프라 구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서비스 출시 일정이 다가오면서, 어플리케이션의 안정성과 가용성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 특히 배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운타임이 사용자 경험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 Blue-Green 배포를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필자는 영남대학교 멋쟁이사자처럼 12기 대표로 활동하며 아기사자들의 트러블 슈팅을 도와주던 중, MacOS 환경에서 MySQL 재설치 과정에 어려움을 겪는 아기사자를 도왔다. 이 글에서는 그 해결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
.
멘토링을 듣던 중, Headless Browser라는 키워드를 접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