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Component Scan

이전 포스트에서 Spring Bean의 기본 개념에 대해 다루었다. 필자는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Component Scan과 관련된 문제를 디버깅하며, Component Scan의 내부 동작 방식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경우 많은 시간을 디버깅에 할애한 경험이 있다. 특히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 수록 Spring Bean의 등록 순서 및 순환 참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omponent Scan의 동작 방식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Spring Bean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이 바로 ‘Spring Bean’이다. 필자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Spring Bean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여 겪는 어려움을 자주 목격하였다. 특히 의존성 주입 과정에서 발생하는 Bean 충돌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것을 보며, Spring Bean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의 필요성을 느꼈다.


Conventional Commits와 Husky로 일관된 커밋 메시지 관리하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보다 일관된 커밋 메시지 설정을 통해 팀원 간 문맥 이해력 향상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비용 감소를 위해 고민하던 중, 지난 프로젝트에서 설정한 Conventioanl Commit을 설정하는 것이 떠올랐고 이를 게시글로 작성하기로 하였다.


MacOS에서 Oralce 데이터베이스 설치

필자는 영남대학교에서 데이터베이스 강의를 수강하면서 Oracle 데이터베이스를 실습 환경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필자의 개발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기록하여 추후에 Oralce을 사용하고자 하는 MacOS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게시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Nginx log를 S3에 저장하기

필자는 졸업 작품팀에서 백엔드 파트와 인프라 구축을 담당하고 있다. 이전 인프라 설계 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Bastion 호스트를 단일 진입점으로 설정하였다. 이로 인해 모든 시스템 접근 기록이 Bastion 호스트의 Nginx 로그에 집중되어 기록되고 있다. 서비스 운영 개시일이 임박함에 따라, 이러한 중요한 로그 데이터를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Pagination